수콩! 2019. 11. 16. 21:51

키보드 사용보장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조작 이외에도 마우스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기능에 대해
키보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것"

키보드 사용 보장의 필요성

  • 마우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키보드를 이용 할 수 있도록 한다.
  • > 일반 사용자도 키보드로 더욱 빠르고 정확한 컨트롤 가능해진다.

키보드 사용보장 검사항목 해설

예외

  • 자유롭게 움직이는 아날로그적인 기능
  • 시뮬레이션과 같은 콘텐츠
  • 입체적인 시각화 기능
  • 마우스를 끌어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

마우스로 이용 가능한 기능을 키보드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

키보드 사용 보장 제공 방법

기준
모든 기능을 키보드로 접근가능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 오류 유형 : 마우스가 제어 할 수있는 요소를 키보드로 제어할 수 없는 경우

  • 오류 사례 1
    이미지에 onclick 자바코드 이벤트를 적용한 경우
  • A, input, select, textarea, button등으로 수정

  • 오류 사례 1

    마우스에 대응되는 키보드 이벤트 핸들러를 적용하지 않아 키보드 접근이 안되는 경우.

    키보드 포커스 초점이 영역 벗어나면 동작하지않음
    → 키보드 이벤트 핸들러 추가

    오류 사례 2

    readonly 속성을 이용하여 키보드 접근이 안 되는 경우

    • ex)우편번호 경우 자바스크립트코드에 의존적으로 구현
    • readonly 속성 제거, 버튼을 href에 유효한 URL로 수정

    주의사항

    1. 반드시 IE8에서 확인할 것.
    2. onkeypress, onkeydown, onkeyup 이벤트 핸들러를 사용하여 키보드로 제어가 불가한 경우 감점
    3. 지리정보(GIS), 가상현실(VR) 콘텐츠의 경우 예외 인정하나 기타 인터페이스는 키보드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함
    4. 키보드로 탭 메뉴에서 탭1→탭2→탭3으로 이동하여 모든 탭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감점
    5. onfocus="this.blur();"를 사용하는 경우 검사항목 8, 9, 19에서 동시 감점


    초점 이동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 웹사이트에서 현재 위치하는 영역을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제공되는 형태로써 포커스 형태와 커서 형태 등으로 위치를 안내하는 것
  • 초점 이동 제공 방법

    기준 :
    키보드 초점을 받은 링크, 컨드롤 및 입력 서식은 초점을 받지 않은 객체들로부터 구분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오류유형 1 : 초점의 이동순서가 논리적이지 않으며 일관성이 없는 경우

    '초점 이동'의 개념 :
    키보드에 의한 초점이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 할 수 있어야함.

    '초점 이동'의 필요성 :
    키보드로만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 어려움 해소

    '초점 이동'의 검사항목 해설 :
    초점을 받았을 때 시각적으로 구분, 사용자가 현재 키보드 위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함

    '초점 이동'의 제공 방법 :
    키보드초점을 받은 링크, 컨트롤 및 입력 서식 초점을 받지 않은 객체들로부터 구분될 수 있게 제공


    조작 가능

    '조작 가능' 의 개념 :
    사용자의 입력 및 컨트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조작 가능' 의 필요성 :
    손 떨림이 있는 사용자와 시각 장애인의 용이한 조작

    '조작 가능' 의 검사항목 해설 :
    링크, 사용자 입력, 기타 컨트롤 등의 안쪽 여백을 두고 이곳에서의 위치 지정 도구가 조작에 미반응

    '조작 가능' 의 제공방법 :
    모든 컨트롤들은 대각선 길이가 6.00mm 이상
    컨트롤 안쪽 여백 : 1픽셀 이상


    응답시간 조절

    '응답시간 조절'의 개념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함

    '응답시간 조절'의 필요성:
    감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어려움 해소

    '응답시간 조절'의 검사항목 해설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정지, 시간 연장할 수 있는 기능 제공

    '응답시간 조절'의 제공 방법 :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 응답시간 조절 가능하게 제공


    정지 기능 제공

    '정지 기능 제공'의 개념 :
    자동 변경되는 콘텐츠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함.

    '정지 기능 제공'의 필요성 :
    콘텐츠에 대한 인식이 느린 사용자 어려움 해소

    '정지 기능 제공'의 검사항목 해설 :
    정보 제공하는 콘텐츠가 자동 변경되는 경우 반드시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을 제공

    '정지 기능 제공'의 제공 방법 :
    자동 변경되는 콘텐츠의 움직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