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콩! 2019. 11. 24. 21:43

문제점의 해결

웹 접근성의 문제점 > 마크업 기술 중심
> HTML과 CSS 중심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함.

 

모바일 접근성

No 표준제목 표준번호 제정년도
1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 KICS.OT-10.0003 2005.12.21
2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KICS.OT-10.0003/R1 2010.12.31
3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KICS.OT-10.0003/R2 2015.03.31
4 금융자동화기기 접근성 지침 1.0 KICS.KO-09.0040 2007.10.19

스마트워크

  • →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을 위한 업무시설

"버스정보시스템(BIS)는 시각장애인에게 전혀 무관한데 시각장애인에게 도움이 되는
것처럼 홍보하고 있습니다. BIS 버스역에 가면 "잠시 후 몇 번 버스가 옵니다"라고
음성이 나오는데, 앞을 전혀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은 지금 서는 버스가 몇 번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시각장애인을 위해 음성서비스를 하는 것 처럼 포장하고 있습니다.

  • 모바일 서비스 > 실제 장애인들을 위한 접근성은 실생활에서 필요한 정보 표현

 

소프트웨어 접근성의 개념

소프트웨어 접근성

  •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보장
  • 1998년도 미국 재활법 제 508조에서 적용
  • 국내에서는 2013년 소프트웨어 접근성 지침 2.0을 국가표준으로 개정중

 

기타 접근성

  • 국내 접근성 법제화 방안
  • 휴대폰, TV, 냉장고, 세탁기, 밥솥, 정수 등 6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