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콩! 2020. 1. 9. 14:24

정보설계 구성

정보설계

정보설계의 목적은 사용자와 앱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 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사용자 요구사항으로부터 도출된 콘텐츠와 기능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UI 구조와 내비게이션(navigation), 레이블링(labeling) 체계를 정립하 는 과정이다. 1976년 정보설계(Information Architecture, IA)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언급한 리처드 사울 워먼(Richard Saul Worman)은 정보설계를 “데이터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 는 정보로 바꾸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정보설계의 정의

정보설계가인 루이스 로젠펠드(Louis Rosenfeld)와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은 정보설계의 핵심을 다음 세 가지로 정의한다.

  • 사용자(user)
  • 사용자의 작업, 니즈, 정보 탐색 행동과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성과 검색성을 향 상할 수 있게 콘텐츠를 분류하고 조직화하는 것

  • 콘텐츠(contents)
  • 사용자가 이용하는 콘텐츠의 크기와 형태, 구조, 조직을 말하며, 이러한 콘텐츠에 사용 자가 직관적으로 접근하고 업무 처리가 용이하도록 문서 형식과 분류, 앱의 구조, 콘 텐츠 관리, 내비게이션, 레이블 작성 등 정보 공간을 설계하는 것

  • 맥락(context)
  • 사용자의 환경에 대한 고려로서 사용자의 요구 반영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정보 제공자의 환경으로 비즈니스적 목표와 요구, 기술, 제약조건에 대해 고려하는 것

정보설계(IA)의 구성 요소

조직화 시스템(organization system)

유사하거나 관련성이 있는 정보들을 몇 개로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집단화(grouping)하 는 방식으로 정보의 체계를 정립하는 것을 말한다. 앱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콘텐츠들 을 자료의 성격에 따라 그룹핑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한다.

  • 계층구조
  • 대부분의 웹 사이트와 모바일 웹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로서 가장 효과적인 구조로 알려져 있다. 최상위 페이지에서 하위 페이지는 특정 주제 아래 계층을 가 지고 있으며, 논리적인 연결 관계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익숙한 구조이다. 또 정보구조 설계자의 입장에서도 정보를 잘 조직화할 수 있고 간단하면서도 보편 적인 구조이기도 하다. 하지만, 페이지 간에 정보의 분류가 잘못 이루어져 있을 경 우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보를 찾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사용 자가 길을 잃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층구조를 설계할 때는 다음의 사 항들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

  • 레이블링 시스템(labeling system)
  • 콘텐츠와 기능에 대표성을 부여할 수 있는 명확하고 친밀감이 있으며 일관된 이름을 지어주는 작업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보편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그 기준은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실제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각과 언어를 중심으로 레이블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내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하고, 정보와 정보 사이의 이동을 원활 하게 돕기 위해 제공하는 것으로 검색 기능, 사용자 위치 정보, 리스트 메뉴, 탭 메뉴, 토글 메뉴, 사이트맵 등의 체계를 말한다. 모바일 앱의 UX에 있어서 내비게이션은 사 용자가 앱에서 태스크를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와 콘텐 츠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편의성을 제공해야 한다.

정보설계(IA)의 프로세스

  • 사용자의 목적과 콘텍스트, 콘텐츠 및 비즈니스 목적과 이슈에 대한 이해
  • 사용자 리서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사용자의 요구사항 및 사용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 가 전제되어야 한다.

  • 내비게이션 시스템, 레이블링 시스템, 정보의 분류와 조직화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용 목적에 따라 정보 체계를 구조화하고 내비게이션, 레이블링 등을 디자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