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료된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작업물을 수집할 수 있다 각종 콘텐츠와 데이터를 정해진 매뉴얼에 근거하여 분류ㆍ보존ㆍ폐기 할 수 있도록 정리할 수 있다 자료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체계화하여 클라이언트와 담당 관리자가 각각 소유하도 록 정리할 수 있다. 디지털디자인 산출물의 이해 산출물의 정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설계도, 코 드와 같은 많은 산출물들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산출물들은 개발 조직 내부에서 이해관 계자간 의사소통을 위해 문서로서 관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산출물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및 관리의 매체로서, 프로젝트 내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작성된다. IEEE에서 수행하고 있는 SWEBOK Project에서는 “개발된 소프트웨어..

산출물 자료 정리 완료된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작업물을 수집할 수 있다. 각종 콘텐츠와 데이터를 정해진 매뉴얼에 근거하여 분류ㆍ보존ㆍ폐기 할 수 있도록 정리할 수 있다. 자료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체계화하여 클라이언트와 담당 관리자가 각각 소유하도 록 정리할 수 있다. 디지털디자인 산출물의 이해 산출물의 정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설계도, 코 드와 같은 많은 산출물들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산출물들은 개발 조직 내부에서 이해관 계자간 의사소통을 위해 문서로서 관리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산출물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및 관리의 매체로서, 프로젝트 내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작성된다. IEEE에서 수행하고 있는 SWEBOK Project에서..

운영체제(OS) 플랫폼 기반 내비게이션설계 운영체제(OS) 플랫폼에 따른 UI 가이드라인에 따라 내비게이션을 설계할 수 있다. 모바일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고려한 내비게이션의 설계 모바일 사용자 경험 가이드라인 일반적으로 모바일 앱 사용자들은 작은 스크린에 대한 불편함과 이로 인해 생기는 입력의 문제, 화면 정보 인지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게 된다. 앞서 학습을 통해 알아보았듯이 운 영체제가 다른 모바일 화면의 UI 구조 차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성의 차이로 느끼게 된다. 이러한 앱의 구조 차이는 서로 다른 사용자 경험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iOS와 안드로이드 앱 모두 거의 같은 UI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중립적인 형태의 앱이 나 하이브리드 앱을 선택하는 추세이다. 제이콥 닐슨은 서로 ..

운영체제(OS) 플랫폼 별 UI 패턴 파악 운영체제(OS) 플랫폼 별 UI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이 높은 내비게이션 을 제공할 수 있다. 운영체제(OS)별 UI 요소와 기능 이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화면의 레이아웃 구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기능을 선택하고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부분 이다.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탭, 메뉴, 툴 바, 액션 바, 각종 버튼 등의 UI 구성 요소를 통 해 앱을 경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대 표적인 운영체제(OS)별 UI 요소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디자인을 진행하여야 한다. iOS UI 필수 요소와 기능 iOS UI 요소는 크게 상태 바, 내비게이션..

내비게이션과 레이블링 정의 정보 구조화와 분류체계·사용자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기능·메뉴 구조를 작성하고 내비게이션과 레이블링을 정의할 수 있다. 기능 정의 및 메뉴 구조 작성 기능 정의 UI 시나리오 기반의 태스크 분석 결과로부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정보 및 콘 텐츠, 기능, 절차 등을 도출한다. 기능 구조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태스크를 지원하기 위해 앱에서 제공해야 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이다. 앱의 기능은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메뉴, 또는 콘텐츠이며 기능에 따른 세부 기능 요소를 필요로 한다. 다음의 문화콘텐츠 앱의 기 능 정의 작성 사례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주요 기능인 문화 콘텐츠 분야를 장르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앱에 진입 시 초기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사 례..

와이어프레임 작성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 요소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항목들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와이어프레임(wire frame)을 작성할 수 있다. 기능 구조 정의 주요 기능 정의 카드소팅 수행을 통하여 콘텐츠와 기능에 대하여 다양하게 그룹핑 및 배열을 시도하면서 기능구조를 정의하였다면, 사용자 태스크 흐름을 중심으로 각 그룹의 사용빈도와 중요도 를 파악한다. 그리고 정의된 기능들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중 요하지 않거나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기능들은 삭제하기도 하고, 새로운 기능이 필요하 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추가하기도 한다. 메뉴 구조도 메뉴 구조도 정의 메뉴 구조도는 앱 공간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메뉴와 각 메뉴의 기능을 문서 로 정리 한 것을 말..

OS 플랫폼 특성 파악 OS 플랫폼에 따른 UX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보구조를 설계할 수 있다. 모바일 UX의 특성 이해 정보구조 설계 과정에 있어서 실제 개발할 UI의 구조도를 작성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 항은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UI/UX에 대한 특성 이해와 모바일의 UI/UX 디자인 원칙, OS 플 랫폼 별 모바일 앱의 UI/UX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UX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앱을 이용하여 달성 하고자 하는 목적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패턴과 니즈를 발견하여, 그것을 UI 디자인 에 담아내는 디자인 과정이 요구된다. 모바일에서 사용자 경험이 유독 강조되는 이유는 첫째, 작은 화면에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

이미지 아트웍 의뢰 사양에 반영할 매체를 확인하고, 기본 시안과 변형 시안의 범위를 계획할 수 있다. 매체별 특성을 이해하여,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시안을 표현할 수 있다 설정된 콘셉트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베리에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의 구현 픽셀(Pixel) 파악 픽셀은 컴퓨터 모니터에서 시각 형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서 ‘화소(Picture element)’를 가리키는 개념으로서 ‘실사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때 이미지는 픽셀로 구 성되어 있다. 비트맵 이미지를 구현하는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표현되는 이미지를 확대 하여 보면, 정사각형의 픽셀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니터에서 픽셀은 수평축과 수직축의 좌표계로 표시되며, 그리드(Grid)를 형성한다. 디지 털 이미지는 일정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