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스크 플로우 작성하기 웹사이트의 특정 영역을 대표하는 페이지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회사 조직도처럼 생겼으며 사이트의 수직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태스크 플로우는 사용자들이 웹사이트를 항해하는 중 취하는 경로나 과정을 보여준다. 사용자의 옵션이나 경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해 제작된다. 시나리오 기반의 태스크 분석 정의 사용자의 니즈와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가 정해야 하는데 이를 태스크(과업)이라고 한다. 이 태스크(과업)을 누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수행하는가를 그리는 과정이 시나리오 작업이다. 태스크(과업) 분석은 이 서비스를 통하여 앞에서 정의한 페르소나가 무엇을 할 수 있 을지, 사용자들에게 어떤 기능들을 제공할 것인지에 ..

와이어프레임 기획된 UI/UX 콘셉트에 따라서 화면의 기본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의 구성에 따라 모든 화면들을 간략하게 설계할 수 있다. UI 기술과 개발 난이도를 고려하여 요소별 액션을 정의할 수 있다. 정의 대략적인 스크린 디자인을 일컫는 것으로, 각 페이지와 기능 간의 관계와 구조를 제안하 고 시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프레임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기본 안내서로 사 용한다. 즉, 와이어프레임은 인터페이스의 기본 요소를 담은 레이아웃을 그림 등으로 표현 한 것으로, 기획서나 스토리보드 등의 UI 디자인을 의미한다. 가벼운 스케치와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 사이에 위치한다고 본다. 개별적인 페이지 혹은 템플릿이 구조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를 정의한다. 사이트의 정..

친화도법(Affinity Diagramming) 사용자리서치의 수행 결과로 방대한 양의 노트, 사진, 음성 기록, 영상 기록 등 자료가 사 용자로부터 수집되고 이로부터 추출된 팩트, 시사점 등에 대한 기록이 더해지게 된다. 이렇게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는 데는 수개월에서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친화도법은 이러한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시각화 하여 이후 데이터에 기반을 둔 UI/UX 관련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해법이 되어 주는 기법이다. 1960년대에 이러한 기 법을 고안한 Jiro Kawakitadml 이름을 따 K-J 기법이라고도 불린다. 친화도법은 사용자리서치의 결과로 얻어진 정량적 데이터를 작은 덩어리로 만들고 그 덩 어리들을 특정 주제나 문제와 관련된 분류와 해당 분류의 하위분류로 구..

UX(User Experience) UX, 즉 사용자 경험이란 제품을 사용하면서 내재화되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경 험을 비롯하여 느낌, 기억, 만족감 등도 포함된다. 이런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하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말한다. 이는 단순히 기능이나 절차상의 만족뿐 아니라 전 반적인 지각 가능한 모든 면에서 사용자가 참여, 사용, 관찰하고, 상호 교감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가치있는 경험이다. 사용자로 하여금 최적의 경험을 유도하는 것이 UX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가 된다. UX의 영역 UX의 대상이 사용자의 만족이나 감정 등의 시멘틱(semantic)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 져 있어 광범위한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