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본 언어 표시의 이해

기본언어 표시의 개념

  •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함

 

기본 언어 표시의 필요성

목적

  • 다양한 언어 공부하거나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지표

 

기본 언어 표시의 필요성

  •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합니다.
  • 중간에 언어가 바뀌는 경우 lang 속성 통해 언어를 바꿔주면
    더 이해하기 좋은 사이트가 됨.

 

기본언어 표시 제공 방법

"웹 페이지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html>에 lang속성을 사용하여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 <html> 속성을 명시하지 않거나 잘못 명시한 경우.

 

기본 언어 표시 제공 방법

  • 기본 언어는 페이지의 상단에 html태그에 lang 속성을 이용하여 지정하고, lang의
    속성 값에는 ISO 639-1에서 지정한 두 글자로 된 언어 코드를 사용해야 함.
중국어(Chinese) 독일어(German) 영어(English) 불어(French)
zh de en fr
일본어(Japanese) 한국어(Korean) 러시아어(Russian) 스페인어(Spanish)
ja ko ru es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은 실행되지 않아야 함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의 필요성

  1.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새창이나 초점 변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함
  2. 해당 사항 발생할 경우 사전에 내용을 알려주어 콘텐츠 움직임에
    문제 없게 하고, 콘텐츠 이용에 이해를 높임.
  • "상기 항목을 오류 없이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

 

오류사항

 

주의사항

댓글
© 2018 webstoryb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