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 링크와 title, target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의 제목 제공 목록 태그 테이블의 활용 1. 센스리더 활용 센스리더에서 이미지 요소에 alt 속성으로 대체텍스트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 이미지 경로를 단어 또는 자음, 모음 조합으로 음성을 출력 이미지가 구조적인 정보를 담고 있거나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단순한 단어나 짧은 문장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 longdesc 속성을 사용 target="_blank" 속성을 사용하여 링크를 새 창으로 열리게 할 경우 "새 창 링크"로 음성 출력 label 요소를 암묵적으로 제공한 경우 센스리더에서 정상적으로 음성으로 출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니 가급적이면 명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

화면 낭독기의 이해 및 사용법 화면 낭독기, 스크린리더와 같은 명칭의 프로그램은 윈도우 컨트롤, 응용프로그램, 웹에 제공된 정보를 시각장애인이 귀로 들을 수 있도록 음성으로 전환 스크린리더는 웹페이지에 없는 정보를 스스로 판단해서 음성으로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웹 개발자에 의해 제공된 정보만 음성 정보로 제공 가상커서는 스크린리더에서 인터넷브라우저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으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가상의 UI 스크린리더는 제품마다 최신기술 지원 여부와 동작방식에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2개 정도의 제품으로 중복 테스트를 하는 것을 권장.

웹 접근성 평가 도구 소개 및 설치방법 K-WAH K-WAH는 웹 사이트 접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보화 진흥원에서 제작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웹 페이지 접근성 준수 여부를 평가하고 접근성 오류들을 바로 잡아주는 수정 과정을 통해서 웹 개발자와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접근이 용이한 웹 사이트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징은 페이지 자동 수집 방식인 크롤링 방식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에서 주소를 수집하여 여러 페이지를 한꺼번에 점검이 가능합니다. K-WAH는 현재 4.4버전까지 업데이트 되었으며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의 준수 정도를 점검해 줍니다. 웹 사이트 접근성 준수 여부 평가 수정 접근이 용이한 웹사이트 페이지 자동 수집 방식(크롤링) → K-WAH → 웹 페이지 오픈 왁스 사용법 CCA..